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 관리사(2023.05.04 - 2023.05.20)4

네트워크, 데이터 전송, 패킷 교환 네트워크 관리사, 정보처리기사 등 자격증 취득을 위해이전에 취업 교육을 받으며 공부했던 내용을 복습하며게시글을 작성하려고 합니다.교육장에서 사용했던 강의 교안과 똑똑한 챗지피티를 활용하여 작성하는 글이므로 무조건적인 신뢰는 위험합니다.더블체크는 필수이며 되도록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길 바라요. 네트워크 프로토콜(Network protocol)- 쉽게 이야기하면, 둘 이상의 통신 개체끼리 통신하는 규칙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.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 어떤 메시지 포맷과 순서로 주고 받을지, 만일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달받지 못 했을 때 어떻게 행동할지 등을 정해놓은 약속이다. 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두 개 이상의 통신 개체가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라야 하는 표준화된 통신 규칙 집합이다. 프로토콜은 메시.. 2024. 11. 5.
TCP/IP 계층 개요 1)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/Internet Protocol은 DoD(미국방성) 모델이라고 하며 OSI 7 Layer와 매우 흡사하다. 2) 이 기종 간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표준으로 OSI보다 먼저 만들어지고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. 3) 미국 ARPANET에서 개발된 프로토콜이다. 4)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다양한 네트워크와 상호 접속이 가능하다. TCP/IP 프로토콜의 구성 TCP/IP프로토콜은 TCP, UDP, IP, ICMP, ARP, RARP로 구성된다. TCP/IP 4계층 1계층: 네트워크 접근(Network Access) 계층 - 물리적 케이블 혹은 무선 통신과 연결하고 메시지를 전송한다. -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서 메시지를 전송한다. * PDU(.. 2023. 5. 14.
에러 제어(Error Control): FEC, BEC 에러 탐지 수신 측 에러 처리: FEC 송신 측 에러 처리: BEC FEC(Forward Error Correction) - 송신 측이 특정한 정보 비트를 함께 전송하여 수신 측에서 이 정보 비트로 에러 발생시 수정하는 방식(수신 측 에러 처리) -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검출하여, 오류를 재전송 요구 없이 수정 - 재전송 요구가 없어 역 채널이 필요 없고, 연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 - 오류 검출 및 수정을 위한 잉여 비트들이 추가 전송되므로 전송 효율 감소 1) 패리티 검사(Parity Bit) - 1의 개수가 짝수인지(짝수 패리티, Even Parity) 홀수인지(홀수 패리티, Odd Parity)를 확인해서 에러 여부를 확인 2) 블록 합계 검사 - 특정 합계를 계산하여 합계가 맞는.. 2023. 5. 14.
OSI 7 계층 개요 1. 개방형 시스템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이용을 위하여, 모든 데이터 통신 기준을 계층으로 분할하고, 각 계층 간의 필요한 프로토콜을 규정한다. 2. 7계층으로 분류하여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시했다. 목표 정보가 전달되는 Framework를 제공해서 네트워크 형태에 차이가 발생해도 데이터 통신을 지원한다. - Framework: 작업(Task)를 처리하기 위한 기본적인 틀을 의미하고 상세한 부분까지는 정의하지 않는다. 특징 1. 개방형 시스템 간에 상호 접속을 위해서 표준화 된 방법을 제시했다. 2. OSI 7 계층별로 정보 흐름을 최소화하여 각 계층의 독립성을 향상시켰다. 3. 프로토콜의 표준화를 제시하여 효율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켰다. 계층별 특징 7계층: 애플리케이션(Ap.. 2023. 5. 14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