* CentOS 7의 최소 사양
* 참고 : 파티션 /boot 500mib swap 2G / 나머지
#0 Linux 생성
step 1 Linux VMware 설치
설치 후 다음 매뉴얼을 실행한다.
1) #ntsysv 명령어를 통해 방화벽을 정지(disable)한다.
2) /etc/rc.d/rc.local 파일에 #rdate -s time.bora.net을 작성한다.
#vi /etc/rc.d/rc.local
3) #chmod u+x /etc/rc.d/rc.local 명령을 실행한다.
4) selinux 사용을 정지한다.
#vi /etc/selinux/config
SELINUX = disabled
step 2 FTP 설치
# yum install ftp
step 3 오라클 원본 파일 다운로드
fucking 이거 ora19c 접속해서 마지막에 해 root로 하면 권한 때문에 퍼킹 번거로움
오라클 원본 파일은 오라클사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으나 우리는 강사님 찬스로 달서버 (192.168.10.11)에서 오라클 원본 파일 "LINUX.X64_193000_db_home.zip"을 다운받는다.
*** 참고로 오라클 원본 파일은 $ORACLE_HOME(/app/ora19c/19c)에 저장되어야 한다.
올바른 경로로 get 해오지 않으면 파일을 옮겨야 하는 귀찮은 일이 발생한다. 휴.
압축 해제는 ora19c 계정에서 하는 게 편하므로 다운로드 받은 후 매뉴얼에 따라 진행한다.
#1 Linux 환경 설정
step 1 oracle 관리 계정 및 그룹 생성
<환경 요약>
호스트명, IP : ora19c, 1192.168.10.115
설치 계정 : ora19c (UID : 1900)
소속 그룹 : dba (GID : 1900)
홈 디렉터리 : /home/ora19c
$ORACLE_BASE : /app/ora19c
$ORACLE_HOME : /app/ora19c/19c
설치 과정 중에 $ORACLE_BASE는 /app/ora19c를 사용하는데 이로 인해 oraInventory 디렉터리가 /app에 만들어짐으로 ora19c 계정이 /app 디렉터리에 대해 소유권과 쓰기 권한을 갖도록 설정해 줘야 한다.
# groupadd -g 1900 dba
# useradd -g dba -u 1900 ora19c
# passwd ora19c
# mkdir -p /app/ora19c/19c
# mkdir -p /app/oraInventory
# chown -R ora19c.dba /app/ora19c
# chown -R ora19c.dba /app/oraInventory
# chgrp -R dba /app
# chmod -R 755 /app
# ls -al /app
step 2 리눅스 설정
# vi /etc/hosts
# Do not remove the following line, or various programs
# that require network functionality will fail.
127.0.0.1 localhost localhost.localdomain localhost4 localhost4.localdomain4
: : 1 localhost localhost.localdomain localhost6 localhost6.localdomain6
192.168.10.115 DB19.itclass.co.kr DB19
step 3 추가 패키지 설치
# yum -y install ksh libaio-devel compat-libcap1 compat-libstdc++-33 glibc-devel libstdc++-devel gcc-c++
# yum install -y https://yum.oracle.com/repo/OracleLinux/OL7/latest/x86_64/getPackage/oracle-database-preinstall-19c-1.0-1.el7.x86_64.rpm
step 4 Ora19c 계정 설정
해당 Linux 서버에서 ora19c 계정으로 접속한다. 그리고 다음과 같은 설정을 수행한다.
# vi .bash_profile
# oracle setup
export ORACLE_OWNER=ora19c
export ORACLE_BASE=/app/ora19c
export ORACLE_HOME=/app/ora19c/19c
export TNS_ADMIN=$ORACLE_HOME/network/admin
export ORACLE_SID=DB19
export NLS_LANG=AMERICAN_AMERICA.AL32UTF8
export ORACLE_HOSTNAME=DB19.itclass.co.kr
export TMP=/tmp
export TMPDIR=$TMP
export PATH=$PATH:$ORACLE_HOME/bin:$ORACLE_HOME:/usr/bin:.
ora19c 계정으로 재로그인 후 설정을 확인한다.
# env | grep ORACLE
#2 설치용 패키지 준비
step 1 압축 해제
다운로드한 파일은 unzip을 이용하여 압축을 풀어준다.
# unzip LINUX.X64_193000_db_home.zip
step 2 인스톨러 실행
설치 파일은 database 디렉터리에 생성된다.
# ./runInstaller
step 3 Universal Installer (설치 과정)
'인프라 7기 > Oracl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racle 실습 : Network 설정과 접속 (0) | 2023.03.02 |
---|---|
Oracle 실습 : SHUTDOWN 옵션의 이해 (0) | 2023.02.28 |
Oracle 실습 : STARTUP과 SHUTDOWN (1) | 2023.02.28 |
Oracle 구조 및 주요 구성 요소 (0) | 2023.02.27 |
Oracle 사용자 계정 생성 (0) | 2023.02.27 |